- 박지온 역
- 성균관대 경제학부 졸, 반야심경 해설서 저자
19.
絶聖棄智(절성기지)
성인과 지혜를 끊고 버려라.
民利百倍(민리백배)
백성들의 이로움이 백 배가 된다.
絶仁棄義(절인기의)
인의(仁義)를 끊고 버려라.
民復孝慈(민복효자)
백성들이 효도와 자애를 회복한다.
絶巧棄利(절교기리)
교묘함과 이익을 끊고 버려라.
盜賊無有(도적무유)
도둑과 강도가 없어질 것이다.
此三者以爲文不足(차삼자이위문부족)
이 세 가지는 글로써 충분하지 않으니
故令有所屬(고령유소속)
그러므로 그것에 의지할 바가 있다.
見素抱朴(현소포박)
소박함을 보고 순수함을 품으며
少私寡欲(소사과욕)
사사로움을 적게 하고 욕심을 줄여라.
20.
絕學無憂(절학무우)
배움을 끊으면 근심이 없어진다.
唯之與阿(유지여아)
'예'와 '응'의 차이가
相去幾何(상거기하)
얼마나 되겠는가?
善之與惡(선지여악)
선함과 악함의 차이가
相去若何(상거약하)
얼마나 되겠는가?
人之所畏(인지소외)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것을
不可不畏(불가불외)
나 또한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다.
荒兮其未央哉(황혜기미앙재)
아, 끝없고 거칠구나!
眾人熙熙(중인희희)
사람들은 즐거워하지만
如享太牢(여향태뢰)
풍성한 제사를 즐기는 듯하고
如春登臺(여춘등대)
봄날에 누각에 오르는 것 같다.
我獨泊兮其未兆(아독박혜기미조)
나는 홀로 고요하여 아무런 징조도 없고
如嬰兒之未孩(여영아지미해)
갓난아이가 웃지 못하는 것과 같다.
儽儽兮若無所歸(뢰뢰혜약무소귀)
나는 방황하여 돌아갈 곳이 없는 것 같다.
眾人皆有餘(중인개유여)
사람들은 모두 여유가 있지만
而我獨若遺(이아독약유)
나만 홀로 잃은 것 같다.
我愚人之心也哉(아우인지심야재)
아, 나는 어리석은 마음을 가졌구나!
沌沌兮(돈돈혜)
혼돈스럽구나!
俗人昭昭(속인소소)
세상 사람들은 밝게 빛나지만
我獨昏昏(아독혼혼)
나만 홀로 어둡다.
俗人察察(속인찰찰)
세상 사람들은 총명하지만
我獨悶悶(아독민민)
나만 홀로 답답하다.
澹兮其若海(담혜기약해)
나는 고요하기가 바다와 같고
飂兮若無止(료혜약무지)
바람처럼 끝이 없다.
眾人皆有以(중인개유이)
사람들은 모두 뭔가를 가지고 있지만
而我獨頑似鄙(이아독완사비)
나만 홀로 어리석고 천한 것 같다.
我獨異於人(아독이어인)
내가 사람들과 다른 것은
而貴食母(이귀식모)
어머니인 도(道)를 귀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21.
孔德之容(공덕지용)
큰 덕의 표현은
惟道是從(유도시종)
오직 도를 따르는 것이다.
道之爲物(도지위물)
도가 물건으로서의 모습은
惟恍惟惚(유황유홀)
아련하고 희미하다.
惚兮恍兮(홀혜황혜)
희미하고 아득하지만
其中有象(기중유상)
그 속에 형상이 있으며
恍兮惚兮(황혜홀혜)
아득하고 희미하지만
其中有物(기중유물)
그 속에 물질이 있다.
窈兮冥兮(요혜명혜)
깊고 어두워서
其中有精(기중유정)
그 속에 정수가 있다.
其精甚眞(기정심진)
그 정수는 매우 참되어서
其中有信(기중유신)
그 속에 신실함이 있다.
自古及今(자고급금)
예로부터 지금까지
其名不去(기명불거)
그 이름이 사라지지 않았으니
以閱衆甫(이열중보)
만물의 근본을 살펴볼 수 있다.
吾何以知衆甫之狀哉(오하이지중보지상재)
내가 어떻게 만물의 근본 상태를 알 수 있는가?
以此(이차)
이 도로 인해 알 수 있다.
19.
성인과 지혜를 끊고 버려라.
백성들의 이로움이 백 배가 된다.
인의(仁義)를 끊고 버려라.
백성들이 효도와 자애를 회복한다.
교묘함과 이익을 끊고 버려라.
도둑과 강도가 없어질 것이다.
이 세 가지는 글로써 충분하지 않으니
그러므로 그것에 의지할 바가 있다.
소박함을 보고 순수함을 품으며
사사로움을 적게 하고 욕심을 줄여라.
20.
배움을 끊으면 근심이 없어진다.
'예'와 '응'의 차이가
얼마나 되겠는가?
선함과 악함의 차이가
얼마나 되겠는가?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것을
나 또한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다.
아, 끝없고 거칠구나!
사람들은 즐거워하지만
풍성한 제사를 즐기는 듯하고
봄날에 누각에 오르는 것 같다.
나는 홀로 고요하여 아무런 징조도 없고
갓난아이가 웃지 못하는 것과 같다.
나는 방황하여 돌아갈 곳이 없는 것 같다.
사람들은 모두 여유가 있지만
나만 홀로 잃은 것 같다.
아, 나는 어리석은 마음을 가졌구나!
혼돈스럽구나!
세상 사람들은 밝게 빛나지만
나만 홀로 어둡다.
세상 사람들은 총명하지만
나만 홀로 답답하다.
나는 고요하기가 바다와 같고
바람처럼 끝이 없다.
사람들은 모두 뭔가를 가지고 있지만
나만 홀로 어리석고 천한 것 같다.
내가 사람들과 다른 것은
어머니인 도(道)를 귀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21.
큰 덕의 표현은
오직 도를 따르는 것이다.
도가 물건으로서의 모습은
아련하고 희미하다.
희미하고 아득하지만
그 속에 형상이 있으며
아득하고 희미하지만
그 속에 물질이 있다.
깊고 어두워서
그 속에 정수가 있다.
그 정수는 매우 참되어서
그 속에 신실함이 있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그 이름이 사라지지 않았으니
만물의 근본을 살펴볼 수 있다.
내가 어떻게 만물의 근본 상태를 알 수 있는가?
이 도로 인해 알 수 있다.
(* 본 글은 추후 출간될 도덕경 해설서 출판을 위한 사전 번역자료입니다.
기존 도덕경 번역과는 많이 다를 수 있으며
추상화된 신비주의보다는 현실적 실용성에 의거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삶에서 자신의 어리석음, 세상의 본질을 이해하여
평온하고 화합하는 삶을 살아가시는데 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yes24.com/Product/Search?query=%EB%B0%98%EC%95%BC%EC%8B%AC%EA%B2%BD+%ED%95%B4%EC%84%A4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25장~27장 해석 (1) | 2024.01.25 |
---|---|
도덕경 22장~24장 해석 (1) | 2024.01.24 |
도덕경 16장~18장 해석 (0) | 2024.01.19 |
도덕경 13장~15장 해석 (1) | 2024.01.06 |
도덕경 10장~12장 해석 (2) | 202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