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앎의 성품
앎의 성품은 늘 이 자리에 있으며, 우리가 보고 들을 때 그대로 알아차리는 것이 앎의 본성입니다. 목표를 설정하지 못한다고 해서 이 앎의 성품이 사라지는 것이 아닙니다. 앎의 성품은 모든 것의 근원이며, 누구에게나 갖추어져 있습니다. 이처럼 누구에게나 갖추어진 앎의 성품을 바탕으로 우리는 학습을 통한 성장의 과정을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시각각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앎의 성품을 잃어버리고 자신만의 관념의 세계에 갖히는 순간 학습은 정지됩니다. 이것이 유연하고 수용적일수록 더 폭발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하는 유연함의 원천입니다. 네빌고다드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
Consciousness is the one and only reality. There is no one to whom we can turn after we discover that our own awareness is God. Your world is a grand mirror constantly telling you who you are.
의식은 유일한 실재입니다. 우리의 인식이 신이라는 것을 발견한 후에는 의지할 대상이 없습니다. 당신의 세계는 당신이 누구인지를 끊임없이 보여주는 거대한 거울입니다.
2. 결과를 알고 나서 시작하자
어떤 일이든 목표를 먼저 분명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목표가 불분명하면 과정에서 시행착오가 많아지고,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시간을 낭비할 수 있습니다. 목표를 명확히 인식하면 방향성이 잡히고, 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목표는 시각화된 결과입니다. 네빌고다드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
To accomplish your desire, you must assume the feeling of the wish fulfilled. Begin at the end, imagining the desired state already realized and live your consciousness from that state.
당신의 바램을 이루기 위해서는 소망이 이미 이루어진 듯한 느낌을 가져야 합니다. 결과에서 시작하여 원하는 상태가 이미 실현된 것을 상상하고, 그 상태에서 의식을 살아가십시오
예시:
-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최종 산출물을 명확히 하면 작업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3. 과정은 끊임없는 학습과 연구
결과를 설정한 후에는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에 대해 학습해야 합니다. 무작정 실행하기보다는 필요한 기술과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효과적인 과정 설계 방법:
-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기술이나 지식을 조사하고 학습한다.
- 비슷한 경험을 가진 사람들의 사례를 참고한다.
-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을 세운다.
과정 중에는 유연한 사고가 필요합니다.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그에 맞춰 방법을 수정해야 합니다.
4. 실행 후 결과 검증
목표를 향해 나아가면서 중요한 단계는, "시작단계의 목표"와 "실행 후의 결과"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처음의 기대와 실제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성장할 수 있습니다.
결과 검증 방법:
- 목표와 비교하여 성과를 점검한다.
- 예상과 다른 부분이 있다면 원인을 분석하고 보완한다.
- 개선점을 적용해 더 나은 결과를 만든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목표에 더 가까워지고, 더 나은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 결과 기반으로 꾸준히 성장하기
결과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학습과 연구를 통해 과정을 설계하며, 실행 후 검증과 보완을 거치는 일련의 과정이 꾸준한 성장을 가능하게 합니다. 처음의 목표를 잊지 않으면서도 과정에서의 실패와 새로운 변화를 받아들이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명확한 목교 설정"과 "유연한 학습과 성장"의 조화입니다. 작은 성과도 꾸준히 쌓아가다 보면 어느새 목표에 가까워져 있을 것입니다.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08827991
'비젼과 마음챙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끽다거(喫茶去)’의 의미 - 지금 여기 (0) | 2025.02.03 |
---|---|
주어진 시간 속에서 가장 원하는 것을 이루어내는 법 (0) | 2025.01.18 |
있는그대로 (0) | 2025.01.02 |
메리 크리스마스_2024-1224 (0) | 2024.12.24 |
고정된 대상에 대한 몰입과 변화하는 대상에 대한 몰입의 차이 (2) | 2024.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