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2025. 3.22. 정리된 산불 발생 시간표
- 오전 10시 7분: 광주광역시
- 오전 10시 8분: 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
- 오전 11시 24분: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 오전 11시 31분: 경기도 여주시
- 낮 12시 12분: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 낮 12시 42분: 전라남도 보성군 노동면
- 낮 12시 54분: 전라남도 보성군 웅치면
- 오후 1시 6분: 경상북도 경산시
- 오후 1시 6분: 대구광역시
- 오후 1시 13분: 경기도 광주시
- 오후 1시 13분: 경기도 연천군
- 오후 1시 25분: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 오후 1시 51분: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 오후 1시 57분: 경상북도 의성군
- 오후 2시 2분: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 안곡리
- 오후 2시 18분: 경기도 동두천시 상패동
- 오후 2시 18분: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 오후 2시 25분: 전라북도 남원시
- 오후 2시 55분: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 오후 3시 19분: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 오후 3시 26분: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 오후 3시 30분경: 경상북도 괴산군 (3단계 격상)
- 오후 3시경: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두양리
- 오후 4시 30분: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 안곡리
B. 통계 분석
- 기본 통계값:
- 봄철 일일 평균 산불 발생 건수: 3.61건
- 6시간 내 예상 산불 발생 건수: 0.90건
- 확률 분석 결과:
- 하루 24건의 산불 발생 확률: 8.88 × 10^-16 (사실상 0에 가까움)
- 6시간 내 24건의 산불 발생 확률: 5.61 × 10^-26 (천문학적으로 희박)
- 전국 10개 권역에서 동시에 산불 발생 확률: 2.30 × 10^-11
이 분석은 연간 평균 산불 발생 건수(400~600건), 봄철 산불 비율(약 65%), 그리고 산불 발생의 일반적인 분포 패턴을 기반으로 했습니다. 정규분포와 포아송 분포 모두를 활용하여 확률을 산출했습니다.
C. 결론: 통계적 이례성
1. 봄철 일일 평균 산불 발생 건수: 3.61건
2. 하루 24건의 산불 발생 확률: 8.88 × 10-16 (사실상 0에 가까움)
3. 6시간 내 24건의 산불 발생 확률: 5.61 × 10-26 (천문학적으로 희박)
4. 전국 10개 권역에서 동시에 산불 발생 확률: 2.30 × 10-11
=> 결론: 이러한 패턴의 산불 발생은 자연적인 확률분포로 설명하기 극히 어려우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이례적 현상임
(자료정리 및 통계 분석은 chatgpt, 클로드 ai 활용)
'사회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약 관련 영화 및 드라마 장르별 분류 (2) | 2025.05.12 |
---|---|
언어의 핵심은 문법이 아니고, 시각화이다 (0) | 2025.04.17 |
2025년 트럼프 취임에 따른 국내외 정치 및 금융질서 변화와 한국의 대응 전략 (1) | 2025.02.08 |
한국 사회의 이념갈등 해결 방향 (0) | 2025.01.18 |
위기의 한국, 그리고 미래 (3) | 202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