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부경(天符經) 해석

 

一始無始一 (일시무시일)

  • 하나(一)는 '지금 여기'이 순간의 자각에서 시작(始)된다. 그러나 이 '지금 여기'라는 근원적 하나(一)는 본래 시작이 없는(無始) 영원한 현재이다. 모든 경험과 인식은 이 '지금 여기'라는 단일한 지점에서 출발하지만, 그 '지금 여기' 자체는 시간을 초월하여 항상 존재한다.

析三極 無盡本 (석삼극 무진본)

  • 이 '지금 여기'라는 하나(一)의 자각 속에서, 우리는 주관(나, 人), 객관(세계, 天地), 그리고 그 사이의 인식작용(心)이라는 세 가지 궁극(三極)을 분별(析)해낸다. 그러나 이렇게 분별되는 현상들의 근본 바탕인 '지금 여기' 자체는 다함이 없는(無盡本) 실재이다. 이 '지금 여기'라는 근원에서 모든 인식이 파생되지만, 그 근원은 고갈되지 않는다.

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일 지일이 인일삼)

  • '지금 여기'에서 인식되는 하늘(天, 순수 의식의 공간 또는 배경)은 그 첫 번째(一) 근원적 하나(一)의 드러남이며, 땅(地, 구체적 대상, 육경)은 두 번째(二)로 그 하나(一)에서 파생된 경험 대상이다. 그리고 인간(人, 육 근을 통해 자각하는 주체)은 세 번째(三)로 그 하나(一)의 자각을 통해 하늘과 땅을 통합하여 인식하는 존재다. 이 모든 것은 '지금 여기'라는 하나의 장(一)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一積十鉅 無匱化三 (일적십거 무궤화삼)

  • '지금 여기'라는 하나의 자각(一)이 쌓이고 쌓여(積) 온갖 현상(十鉅, 수많은 경험과 인식들)을 드러낸다. 그러나 이 무수한 현상들은 결국 주관, 객관, 인식작용이라는 세 가지(三)로 조화(化)되어 나타나며, 이 '지금 여기'에서의 변화와 생성은 다함이 없다(無匱). '지금 여기'에서의 깨어있는 인식은 무한한 경험의 장을 펼쳐낸다.

天二三 地二三 人二三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

  • '지금 여기'에서 인식되는 하늘(天) 또한 인간(人)과 객관(地)의 상호작용(二)을 통해 그 온전한 모습(三)을 드러내며, 땅(地) 또한 하늘(天)과 인간(人)의 관계 속에서, 인간(人) 또한 하늘(天)과 땅(地)과의 관계 속에서 그 존재의 의미(三)를 갖는다. 즉, '지금 여기'에서 주체와 객체, 그리고 인식은 분리되지 않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역동적으로 존재한다. 육 근과 육경의 만남, 그리고 그것을 아는 마음이 '지금 여기'에서 함께 작용한다.

大三合六 生七八九 (대삼합육 생칠팔구)

  • 육근, 육경, 육식이 '지금 여기'에서 하나로 합일되면 새로운 인식인 육식(六)으로 드러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만물(七八九, 생각의 확산 혹은 인식의 착각)이 생겨난다(生). 

運三四 成環五七 一妙衍 (운삼사 성환오칠 일묘연)

  • '지금 여기'에서 몸, 대상, 인식작용(三)과 이들의 안정된 토대 또는 사계절의 순환과 같은 자연스러운 변화(四)가 운행(運)되며, 오행(五行)과 칠정(七情) 등의 다양한 경험들이 순환(環)을 이룬다. 이 모든 변화와 순환은 '지금 여기'라는 하나의 장(一)에서 오묘하게(妙) 펼쳐지는(衍) 현상이다. '지금 여기'에 깨어있을 때, 삶의 모든 과정과 변화가 신비롭게 다가온다.

萬往萬來 用變不動本 (만왕만래 용변부동본)

  • '지금 여기'에서 수많은 생각, 감정, 현상들이 끊임없이 오고 가지만(萬往萬來), 그 작용(用)과 변화(變) 속에서도 '지금 여기'라는 근본 바탕(本)은 흔들림이 없다(不動). 과거의 기억이나 미래의 불안이 떠오르더라도, '지금 여기'에 깨어있는 의식은 그것들이 단지 나타났다 사라지는 현상임을 알고 그 근본적인 평정심을 잃지 않는다. 

本心本 太陽昻明 (본심본 태양앙명)

  • '지금 여기'에 깨어있는 마음(本心)이야말로 모든 것의 근본(本)이며, 이는 마치 밝게 떠오르는 태양(太陽昻明)과 같이 모든 어둠(망상, 관념)을 몰아내고 진실을 비춘다. '지금 여기'에 대한 자각이 바로 이 밝은 태양과 같다.

人中天地一 (인중천지일)

  • '지금 여기'에 깨어있는 사람(人) 안(中)에서 하늘(天, 순수의식)과 땅(地, 경험세계)은 비로소 하나(一)로 통합된다. 인간의 '지금 여기'에 대한 자각을 통해서만 분리된 듯 보이는 세계가 본래 하나임을 체험한다.

一終無終一 (일종무종일)

  • 매 순간의 '지금 여기'(一)는 그 자체로 완전하며, 한 순간이 지나가면 다음 '지금 여기'(一)로 이어지며 끝나는 듯(終) 보이지만, '지금 여기'라는 영원한 현재 자체는 결코 끝이 없다(無終). 매 순간이 새로운 시작이자 영원한 현재(一)이다. 이는 '지금 여기'가 인간의 인식 여부와 관계없이 늘 실존하지만, 자각을 통해 그 빛을 드러낸다.

 

+ Recent posts